출처 : http://health20.kr/1478
원문:
진화에는 시간이 걸린다.
진화에는 시간이 걸립니다. 초기의 TV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라디오 프로그램을 보이는 형태로 녹음하는 것에 불과했습니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TV 라는 시청각 미디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게 되었고, 이에 알맞는 프로그램 및 컨텐츠가 제작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TV 는 라디오를 제치고 가장 영향력이 높은 미디어로 등극하게 됩니다.
우리는 현재 라디오에서 TV로 넘어오던 시기와 비슷한 진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TV의 영역이 강해 보이고,
TV의 방식인 일방적인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일방적으로 대중에게 전달)을 주된 방식으로 제작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과 모바일의 특성에 만든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들이 기획되고 만들어지게 될 것입니다.
BBC 온라인은 12년간 계속 조금씩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의 모바일 영역에서의 발전은 눈이 부십니다. 새로운 휴대폰
기기와 운영체제 등에 의해 초기 모바일 미디어에 비해 훨씬 내용과 비주얼이 풍부한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0년
전에는 단순한 WAP 사이트를 통해 텍스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전부였지만, 그 이후 그래픽을 추가하게 되었고, 현재는
오디오와 비디오를 모두 제공합니다. 현재 BBC 온라인은 영국에서 2번째로 많은 사용자들이 접근하는 모바일 웹사이트가
되었습니다.
세계를 모바일로 묶다.
아래의 사진은 나이지리아에서 하고 있는 BBC 월드 서비스(World Service)와 관련한 사진입니다. 모바일로 접근하는
사용자들을 분석해보면 놀랍게도 아프리카에서 접근하는 비중이 5%나 됩니다. 인터넷 환경보다 모바일이 이들 국가의 세계를 향한
창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BBC에서는 나이지리아의 6개 마을에 휴대폰을 나누어주고 이를 활용해서 부족민들이 TV를 보고,
동시에 이들의 목소리를 취재하는 양방향 서비스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사진의 가운데 있는 사람이 "mobile keeper"로
휴대폰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BBC의 프로그램을 돌려서 봅니다. 그리고, 이 휴대폰을 통해서 지역사회의 생활을 직접
부족민들이 취재하고 소통을 하면서 프로그램 제작에도 기여합니다.
소셜 웹 서비스와의 결합 역시 대단히 중요합니다. 특히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위치정보서비스와 결합한 모바일 방송은 앞으로
수많은 혁신을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이런 효과는 단지 모바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나 TV에서도 직접 연결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지역사회에서의 수많은 이슈들이 묻히지 않고 제작이 되고 이를 유통시키는 플랫폼들이 등장하게 될 것입니다.
BBC는 이미 이런 부분의 전략을 세워놓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모바일은 대부분의 사람들의 첫번째 인터넷 접근 수단이 될 것이 확실합니다. 특히, 젊은 사람들은 더욱
빠르게 옮겨갈 것입니다. 모바일 사용자들을 대부분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사용유형에 따라 크게 4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로 대부분의 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Mobile first" 그룹,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지만
주로 이동 중에 사용하는 "Mobile lifestyle" 그룹, 휴대폰으로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휴대폰에
중독(?)되다 시피하는 "Addicted devotees", 그리고 역시 휴대폰을 끼고 살지만 주로 소셜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Social animals" 입니다. 이런 모바일 그룹에게 맞는 프로그램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BBC는 올해 BBC 뉴스와 스포츠를 시작으로 아이폰을 비롯한 많은 스마트 폰 앱들을 개발해서 배포합니다. 이러한 앱들은
각각의 컨텐츠 특성에 맞추어 다르게 디자인이 됩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로 스포츠를 주로 보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그들에게
적합한 추가적인 모바일 서비스가 들어갈 예정입니다.
TV, 인터넷, 모바일을 하나로 ... 그리고 소셜!
모바일이 중요해지기는 했지만, 전체 그림에서는 하나의 부분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전통적인 TV와 기존 인터넷으로 접근할 수
있는 BBC 온라인,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가 서로 효과적인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풍부하고 상호작용이 극대화된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합니다.
모바일의 경우 위치기반서비스와 연계가 되고, 간단하고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웹에서는 많은
수의 컨텐츠를 쉽게 찾아볼 수 있고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TV에서는 수동적인
경험에 보다 능동적인 사용자들이 무엇인가 추가적인 경험을 얻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소셜 웹 서비스와의 결합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BBC의 경험을 소셜 웹 서비스로 전달하고, 반대로 소셜 웹 서비스에서
들어오는 피드백이 자연스럽게 BBC의 프로그램에 녹아들 수 있는 전략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개념의 변화는 과거의 시청자들은 BBC로 프로그램을 보러 몰려왔지만, 이제는 BBC가 사용자들이 주로 있는 곳으로 달려가야 한다는 점입니다.
개방형 혁신이 필요하다.
놀랍지 않습니까? 이처럼 BBC가 세상이 변화하는 방향에 따라 변신하려는 노력은 정말 모두들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또 한가지 BBC가 노력하고 있는 부분에 박수를 보내는 것이 프로그램의 개방과 관련한 부분입니다. 아직 전면적인
프로그램 컨텐츠 개방은 하고 있지 못하지만, 이는 BBC 내부의 입장보다는 저작권을 공동소유하고 컨텐츠 제작에 참여했던
협력자들과의 조율이 쉽지 않은 이유가 더 크다고 합니다. 이미 BBC는 과거 저작권이 종료된 영상들을 무료로 쉽게 찾아서
공유할 수 있는 BBC Archives 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작권의 문제가 없이 제작된 영상 컨텐츠들을 받아서 유통시키는 플랫폼도 선을 보였습니다. 여기에 더해서 Common
Platform 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서 BBC 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들을 어떻게 사람들을 위해서 개방하고, 지역사회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을지, 그리고 공유의 방법과 윤리 및 정책을 어떻게 세울 것인지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Steve Bowbrick 을 중심으로 세세한 기획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방형 혁신에 대한 노력은 아래 링크의 블로그를 통해서 더욱 자세히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방송사들도 많이 참고해야할 모범사례가 아닐까요?
'New Media +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의성이란? (0) | 2011.04.08 |
---|---|
오픈소스, 그리고 자바 - 오픈소스라이프사이클 (0) | 2010.09.30 |
[New Media+Biz #08] 뉴미디어와 비지니스 혁신 (0) | 2009.02.24 |
[New Media+Biz #07] Future in the Year 2020 (0) | 2009.01.19 |
[New Media+Biz #06] Open Technology & Education의 뉴미디어 트렌드 분석 (0) | 2009.01.04 |